셰익스피어는 "사랑을 말하려거든 나지막한 음성으로 말하라"고 했다 하지만 주변의 연인들을 바라보면
나지막한 목소리로 말해도, 아니 말하지 않아도 사랑에 빠져 있음이 표가 난다. 유독 남녀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은데.. 이 사랑이 우리
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이 있을까?
|
 |
사랑은 heart (심장) 명약 |
|
제네바에 본부가 있는 세계심장연맹 발표에 의하면 사랑을 하거나 받게 되면 심장 건강에 좋다라고
합니다. 이유는 사랑에 빠질 경우 심장질환의 3대 요인으로 손꼽히는 스트레스와 의기소침, 불안증세를 줄일 수 있어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
합니다.
| |
 |
사랑은 기분 좋은 스트레스
|
|
사랑에 빠지면 얼굴이 상기되고 손에 땀이 나고 가슴이 두근거립니다. 여러분도 이런 경험 있으시죠?
그런데 이런 현상의 원인은 뇌에서 분비되는 암페타민 때문. 암페타민은 도파민이나 PEA 등의 호르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| |
 |
사랑에 빠지면 예뻐진다? |
|
사실입니다. 사랑에 빠지게 되면 외모에 변화가 생기는데 이는 짝을 유혹하고 짝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려는
동물적인 감각과 일치합니다.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인해 뇌의 시상하부 특정부위를 활성화 시켜 호르몬 분비를 왕성하게
합니다
| |
 |
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 분비 촉진 |
|
피부를 윤택하게 하고,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건강하고 매력적인 외모로 변화하게
합니다.
| |
 |
면역력 증강, 다이어트 효과 |
|
사랑하는 사람과의 신체접촉은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을 갖고 있는 T임파구를 증가시키고, 에너지를 많이
소비하게 됩니다. 또한 몸 속의 호르몬들이 포만 중추를 자극하여 먹지 않아도 배부른 느낌을 갖게 하므로 평소보다 적은 양을 먹게 되어 살이
빠지는 효과도 있습니다.
| |
 |
정신적 안정감 유지, 자부심 증가 |
|
주변에 항상 날이 서있던 사람이 어느날 더없이 너그러워지는 것을 본적이 있는데, 자세히 보니 그
사람이 사랑에 빠져 있었습니다. 이렇듯 사랑은 날카로운 사람도 부드럽게 만드는 묘약입니다. 매슬로우의 인간의 욕구 중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
다음으로 사랑 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고 하는데 이 욕구가 충족되면 자부심과 자신감이 높아진다고
합니다.
| |
 |
하지만 사랑도 유한한 것? |
|
사랑의 감정도 유한할까? 그래서 권태기라는 말이 있는 듯. 이렇듯 열병을 앓는 것 같은 사랑을
하다가도 시들해지는 것이 사랑에 빠지게 했던 암페타민이라는 호르몬 때문. 이 호르몬은 사랑이 시작된 지 2~3년이 지나면 더 이상 분비되지
않는다고 합니다. 하지만 남녀간의 관계에 있어 사랑을 뛰어넘는 감정이 또 있습니다. 그것은 바로 정과 신뢰!! 이 정과 서로에 대한 신뢰감은
엔도르핀 분비를 촉진시켜 심리적인 안정을 가져다 줍니다.
| |